반응형
우리말에는 날씨와 기상현상을 표현하는 다양한 순우리말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자연과의 깊은 연관성을 반영하며, 우리의 일상 속에서 풍부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순우리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비와 관련된 순우리말
- 가랑비: 조금씩 내리는 비를 의미합니다.
- 자드락비: 굵고 세게 내리는 비를 뜻합니다.
- 오란비: 오랜 기간 내리는 비를 가리킵니다.
- 비설거지: 비가 오기 전에 비에 맞지 않도록 물건을 치우는 일을 의미합니다.
한글공감 - 한국인도 잘 모르는 ‘순우리말 한글 단어’ 같이 알아볼까?
국립한글박물관 한박웃음 - 한글공감
www.hangeul.go.kr
2. 바람과 관련된 순우리말
- 샛바람: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뜻합니다.
- 하늬바람: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의미합니다.
- 마파람: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가리킵니다.
- 높바람: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뜻합니다.
3. 눈과 관련된 순우리말
- 도둑눈: 밤에 조용히 내리는 눈을 의미합니다.
- 숫눈: 하얀 눈 위에 발자국이 없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 자국눈: 발자국이 날 정도로 적게 내린 눈을 뜻합니다.
- 잣눈: 발목까지 쌓일 정도로 많이 내린 눈을 의미합니다.
4. 기타 기상현상과 관련된 순우리말
- 상고대: 겨울철에 나무나 풀에 내린 서리가 얼어붙어 형성된 얼음꽃을 가리킵니다.
- 용오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저기압성 소용돌이를 의미합니다.
- 햇무리: 해 주변에 나타나는 빛의 테두리를 뜻합니다.
- 달무리: 달 주변에 나타나는 빛의 테두리를 가리킵니다.
이러한 순우리말들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자연과의 깊은 연관성을 느끼게 해줍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변화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