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를 작성할 때 군별, 병과, 계급을 정확히 기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군 복무 경험은 기업에서 소중히 여기는 자산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군별 기재
군별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등 복무한 군 종류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육군에서 복무했다면 '육군'으로 표기합니다. 공익근무요원의 경우에도 '육군'으로 표기합니다.
2. 병과 기재
병과는 복무 당시의 주특기를 의미합니다. 숫자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보병 병과는 '1111 보병'과 같이 작성합니다. 정확한 병과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병적증명서를 발급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동사무소나 인터넷 민원24를 통해 발급이 가능합니다.
3. 계급 기재
최종 제대 시의 계급을 기재합니다. 예를 들어 상병으로 제대했을 경우 '상병'으로 표기합니다. 공익근무요원의 경우 '이등병'으로 작성합니다.
4. 복무 기간 기재
군 복무 시작과 종료 날짜를 기재합니다. 일반적으로 YYYY.MM 형식으로 작성하며, 예를 들어 '2020.03 - 2022.02'와 같이 표기합니다.
5. 직무 및 역할 설명
복무 중 수행한 직무와 역할을 상세히 서술합니다. 예를 들어 '특수작전 부대에서 팀원으로 활동하며 작전 계획 수립 및 실행 지원'과 같이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
6. 성과 및 경험 강조
복무 중의 주요 성과나 특별한 경험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훈련 중 팀 리더로서 10명의 팀을 이끌어 95% 이상의 목표 달성'과 같이 구체적인 성과를 기재합니다.
7. 훈련 및 자격증 기재
복무 중 받은 교육, 훈련, 자격증을 포함합니다. 이는 지원자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군사 작전 관련 교육 수료, 무기 시스템 운영 자격증 보유'와 같이 작성합니다.
8. 직무와의 연관성 강조
지원하는 직무와 군 복무 경험의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복무 경험이 해당 직무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보병병과에서의 팀워크 경험은 프로젝트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와 같이 작성합니다.
9.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
군별 및 병과와 관련된 정보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하여, 채용 담당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불필요한 정보는 피하고 핵심적인 내용에 집중합니다.
공익출신인데 취업지원서 및 자소서 작성 할 때... : 클리앙
공익출신인데 취업지원서 및 자소서 작성 할 때... : 클리앙
복무기간: . . ~ . . 군별: 병과: 계급: 면제사유: 여기가 문제네요... 공익이야 계급은 이등병이고, 면제 사유는 면제가 아니니깐 없는데... 군별과 병과는...ㅠ_ㅠ 어떻게 적어야 할까요? 그냥 빈칸
www.clien.net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력서에 군별, 병과, 계급을 작성하면, 군 복무 경험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원자의 경험과 역량을 부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채용 담당자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