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키보드의 한영키가 작동하지 않아 한글과 영어 입력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아래의 방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
1. 키보드 레이아웃 확인 및 변경
잘못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으로 인해 한영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레이아웃을 확인하고 필요 시 변경해 보세요.
- 설정 열기:
윈도우 키 + I
를 눌러 설정을 엽니다. - 시간 및 언어 선택: '시간 및 언어'를 클릭합니다.
- 언어 및 지역 선택: 왼쪽 메뉴에서 '언어 및 지역'을 선택합니다.
- 한국어 옵션 확인: '기본 설정 언어' 목록에서 '한국어'를 선택하고, '옵션'을 클릭합니다.
-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키보드' 섹션에서 현재 설정된 레이아웃을 확인하고, '한글 키보드(101키)'로 변경합니다. 변경 후에는 컴퓨터를 재시작해야 적용됩니다.
[삼성 PC] 키보드 한영(한글 영어) 전환이 안됩니다.
[삼성 PC] 키보드 한영(한글 영어) 전환이 안됩니다.
키보드에 한영(한글 영어) 전환(변환)키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입력 도구 모음 관련 파일의 오류 또는 레지스트리 문제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www.samsungsvc.co.kr
2. IME 버전 변경
IME(Input Method Editor)의 버전 문제로 한영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전 버전으로 변경해 보세요.
- 설정 열기:
윈도우 키 + I
를 눌러 설정을 엽니다. - 시간 및 언어 선택: '시간 및 언어'를 클릭합니다.
- 언어 및 지역 선택: 왼쪽 메뉴에서 '언어 및 지역'을 선택합니다.
- 한국어 옵션 선택: '기본 설정 언어' 목록에서 '한국어'를 선택하고, '옵션'을 클릭합니다.
- 키보드 옵션 변경: 'Microsoft 입력기'를 선택하고, '키보드 옵션'을 클릭합니다.
- 이전 버전 사용: '이전 버전의 Microsoft IME'를 '켬'으로 변경합니다. 변경 후에는 컴퓨터를 재시작해야 적용됩니다.
3. 레지스트리 편집
레지스트리 설정이 잘못되어 한영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레지스트리를 수정해 보세요.
- 실행 창 열기:
윈도우 키 + R
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regedit'을 입력하고 Enter를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 경로 이동: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경로로 이동합니다. - 값 추가: 다음 값을 추가합니다.
- LayerDriver KOR:
kbd101a.dll
- OverrideKeyboardIdentifier:
PCAT_101AKEY
- OverrideKeyboardSubtype:
3
- LayerDriver KOR:
4. 키보드 드라이버 재설치
키보드 드라이버의 문제로 한영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드라이버를 재설치해 보세요.
- 장치 관리자 열기:
윈도우 키 + X
를 눌러 장치 관리자를 엽니다. - 키보드 드라이버 찾기: '키보드' 항목을 확장합니다.
- 드라이버 제거: '표준 PS/2 키보드'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장치 제거'를 선택합니다.
- 재부팅: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재설치됩니다.
5. 하드웨어 문제 확인
위의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키보드 자체의 하드웨어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다른 키보드를 연결하여 한영키가 작동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위의 방법들을 순차적으로 시도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전문 기술 지원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