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뢰침 설치 세부 규정

by 누워있는시계 2024. 11. 26.
반응형

피뢰침 설치는 건물과 시설물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피뢰침 설치와 관련된 세부 규정은 한국산업표준 및 관련 법규에 따라 엄격히 정해져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주요 설치 기준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피뢰설비 설치 대상

피뢰설비는 주로 고층 건물과 주요 공공시설에 설치됩니다. 건물 높이가 150m를 초과할 경우, 120m 지점부터 최상단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해야 합니다. 외벽이 금속 부재로 마감된 경우, 금속 부재 간의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되면 측면 수뢰부가 설치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2. 피뢰설비 구성 요소

피뢰설비는 크게 수뢰부 시스템, 인하도선, 접지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 수뢰부 시스템: 낙뢰를 직접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보호각법, 회전구체법, 메시도체법 등으로 설치됩니다. 보호각법은 수뢰부 정점의 각도로 보호범위를 나타내며, 회전구체법은 낙뢰의 선행 선단을 기준으로 가상의 구를 회전시켜 보호범위를 설정합니다. 메시도체법은 메시도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보호범위로 설정합니다.
  • 인하도선: 수뢰부로부터 접지부로 낙뢰 전류를 전달하는 도선으로, 건물 구조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됩니다. 인하도선 간의 평균거리는 보호등급에 따라 달라지며, 등급 Ⅰ의 경우 10m, 등급 Ⅳ의 경우 20m 이내로 배치해야 합니다.
  • 접지 시스템: 낙뢰 전류를 대지로 흘려보내는 시스템으로, A형 접지극(방사상 접지전극, 수직 접지전극 등)과 B형 접지극(환상 접지전극, 메시 접지전극 등)이 사용됩니다. 접지전극은 최소 0.5m 이상의 깊이에 매설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전기적 결합 효과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3. 내부 피뢰설비

내부 피뢰설비는 외부 피뢰설비가 없는 경우, 전기적 본딩을 통해 전위 차이를 균등하게 하는 등전위 본딩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건물 내부의 전기 설비와 금속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4. 설치 시 주의사항

피뢰설비 설치 시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시공 방법이나 화학 첨가물 사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또한, 급수, 급탕, 난방, 가스 등의 금속 배관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위가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서지 보호 장치를 설치하여 낙뢰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 설비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피뢰설비 설치대상과 설치기준 알아보기

 

피뢰설비 설치대상과 설치기준 알아보기

낙뢰로 인한 산업재해 예방에 필요한 피뢰설비 설치기준을 확인하세요! 하다에서 피뢰설비 종류와 설치대상까지 쉽게 알려드립니다.

www.hadaworks.com

 

피뢰침 설치는 건물과 인명 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이며,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안전하게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